본문 바로가기
반려 견 생활과 상식

강아지 지시어 교육하기

by 행복하갱 2023. 1. 19.
반응형

사람은 언어로 소통합니다. 다양한 글자를 조합해 소리를 내고 글을 쓰며 의사를 전달합니다. 하지만 반려견이 낼 수 있는 소리는 밖에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견은 사람이 말을 해도 그 소리가 어떤 의미인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끊임없이 반려견에게 말로 의사를 전달합니다. 함께 살아가면서 반려견에게 어떤 행동을 요구하고, 지시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지시어 교육입니다. 지시어를 내리면 반려견이 반려인의 의도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게 하는 교육이죠. 이 교육을 통해 반려인과 반려견은 한층 더 소통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흔히 지시어 교육을 명령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최근의 반려견 교육 전문가들은 이를 명령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명령이라는 단어는 상하, 혹은 주종 관계에서 형성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근 반려인들은 스스로를 반려견의 주인이 아닌 동반자또는 보호자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지지하는 반려견 교육 전문가들은 강제적인 교육보다는 반려견이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교육을 하라고 조언합니다. 지시어 교육에서도 반려견을 강제로 앉히거나 무작정 엎드리게 하는 방식보다는 반려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반려견이 행동했을 때 간식 등의 보상으로 좋은 기억을 심어줘 앞으로도 해당 지시어에 자연스럽게 반응하도록 하는 방식이죠.

 

지시어를 말할 때 주의할 점

반려견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어조나 몸짓 등 다양한 비언어적 수단으로 분위기와 의도를 파악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해하는 게 아니라 눈치를 채는 것이죠. 따라서 같은 행동을 원하는 지시어를 내릴 때는 목소리의 톤이 일관적이어야 합니다. 사람은 단어의 뜻을 통해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어조를 다양하게 가져가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지만 개는 말투가 달라지면 그 의미도 다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관적이어야 하는 것은 목소리의 톤뿐만이 아닙니다. 단어 또한 통일해야 합니다. 사람은 같은 뜻도 다른 단어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뜻을 가진 동의어를 통해 같은 개념도 다른 느낌으로 전달할 수 있죠. 가령 ‘이리와’‘이리 와’라는 지시어는 이쪽으로’, ‘어서 와’등의어서와’ 단어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죠. 이렇게 복잡한 사람의 언어 체계를 개도 이해할 수 있을 리는 만무합니다. 사람 또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울 때에 이와 같은 동의어를 다 익히지 못해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려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처음 부를 때는 ‘이리와’ ‘이리 와’라고 하다가 다음에 부를 때는 ‘어서와’ ‘어서 와’라고 한다면 반려견은 반려인이 무슨 의도로 말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목소리의 톤과 단어의 반복 여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앞서 반려견은 목소리의 톤 등 비언어적인 수단을 통해 상황을 파악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동물행동학자 패트리샤 맥코넬은 저서 당신의 몸짓은 개에게 무엇을 말하는가를 통해 개가 어떤 목소리에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오랜 연구 결과를 통해 설명했습니다. 맥코넬은 반려견의 행동을 계속 북돋아주고 싶다면 짧고 반복적인 소리를 높은 톤으로 내주라고 설명합니다. 가령 반려견이 달리기를 하고 있다면 달려, 달려, 달려라고 하면서 반려견이 계속해서 달리도록 독려해 주는 것이죠.

 

반면 반려견의 행동을 멈추게 하고 싶다면 짧고 단호하게, 낮은 목소리로 지시어를 내려야 합니다. 보통 반려견이 흥분해서 다른 곳으로 돌진하려고 할 때는 반려인이 당황해서 그만, 그만, 그만을 반복하곤 하는데요. 이럴 경우 앞서 말씀드린 대로 반려견의 행동을 재촉하는 결과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려견을 제지하고 싶다면 반려견의 앞에 서서 단호한 목소리로 동작을 그만하게끔 해야 합니다.

 

기본 지시어 교육하기 : 이리와, 앉아, 엎드려, 기다려

1) 이리 와

반려견을 부르는 방법은 우선 가장 먼저 이름을 부르는 일입니다. 이는 지난 이름 부르기편에서 설명드린 적이 있는데요. 다만 이름을 부르면 반려인을 향해 걸어올 수도 있지만, 반려인을 돌아보고 무엇 때문에 자신을 불렀는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리 오라는 의미를 더 확실하게 심어주기 위한 ‘이리와’ 교육이 필요한 거죠. ‘이리 와’는이리와’ 반려견이 지시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지시어이기도 합니다. 반려인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반려견이 반려인 곁으로 가까이 온 뒤에 다음 지시어를 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려견을 부르기 위해서는 반려견이 반려인과의 관계가 원만해야 합니다. 반려인이 불렀을 때 반려견에게 좋은 기억이 남아 있다면 반려견이 반려인의 곁으로 더 쉽게 가겠죠. 그렇기 때문에 이름 부르기편에서 이름을 불렀을 때 반려견에게 야단을 치지 말라고 말씀을 드렸던 겁니다.

 

 

‘이리 와’. 오라고 지시해 놓고 야단만 친다면 그 지시어를 좋게 여길 수는 없습니다. 반려견에게 ‘이리와’ ‘이리 와’가 나쁜 기억을 남긴 명령어라면 ‘이리와’‘이리 와’라고 할 때 반려견은 머뭇거리거나 아예 반응을 하지 않을 수 있죠. 따라서 ‘이리와’‘이리 와’라고 하며 손짓을 했을 때 반려견이 다가온다면 간식 등의 보상을 통해 칭찬을 해 주세요. 이러한 방법으로 반복 훈련을 해 주면 반려견의 머릿속에 ‘이리와’‘이리 와’는 좋은 기억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2) 앉아

다음은 앉아입니다. '앉아' 훈련은 기본적인 훈련 중 하나이면서도 어디서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령 반려견과 걷다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고 있을 때 반려견에게 앉아라고 지시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만날 때 반려견이 반가워서 앞다리를 들고 흥분할 때 반려견을 진정시키는데도 도움이 되죠.

 

앉아훈련을 할 때는 우선 간식을 준비해 주세요.. 간식을 손에 쥔 다음 반려견의 코 근처로 가져간 다음 반려견의 머리 위로 간식을 옮겨주세요. 반려견이 간식을 따라 머리를 들면 뒷다리는 바닥으로 내려갈 겁니다. 이때를 놓치지 말고 간식을 반려견에게 주면서 칭찬해 주세요.. 이 방법대로 수차례 연습한 다음, 반려견에게 앉아라는 명령어와 함께 훈련을 진행하면 반려견이 앉아라는 명령어를 인식하고 자리에 앉을 수 있게 됩니다.

 

3) 엎드려

앉아를 배웠다면 그다음은 엎드려를 배웁니다. 이는 반려견이 집이나 밖의 바닥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를 원할 때 자주 쓰이는 방법입니다. ‘앉아를 배운 반려견은 반려인이 간식을 쥐고 있으면 바로 앉을 수 있습니다. 이때 반려인은 간식을 쥔 손을 머리 위가 아닌 바닥으로 옮겨줍니다. 반려견이 바닥으로 내려간 간식의 냄새를 맡기 위해 손을 따라 앞다리를 펴고 바닥에 엎드리면 간식을 주면서 칭찬해 주세요..

 

일반적인 반려견 교육은 짧게 자주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려견들의 집중력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이죠. 다른 교육도 마찬가지로 엎드려 교육 역시 이와 같이 진행해 주되 한 가지 더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장소를 자주 바꿔가면서 진행한다는 점입니다. 반려견이 집에서 엎드려를 잘한다면 공원과 같이 다른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에서도 시도해 보세요. 이 교육까지 성공한다면 반려견은 다소 산만하거나 사람이 많은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기다려

엎드려교육이 끝났다면 다음은 ‘기다려’ 입니다. 사람이 그렇듯 반려견에게도 인내심은 교육을 통해 학습받아야 하는 요소입니다. 기다리고 나면 반려견에게 보상이 주어진다는 것이 기억에 남아 있어야 반려견이 기다리는 이유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밥만 보면 바로 달려들기 바쁜 반려견에게 기다려는 안정적으로 밥을 먹을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교육입니다.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간식을 손에 쥔 다음 반려견에게 엎드려를 지시하고, 반려견에게 간식이 없는 손바닥을 펼쳐서 잠시 기다리라는 신호와 함께 기다려라고 말해줍니다. 그 뒤에 바로 음식을 주지 말고 몇 초 기다린 다음 반려견에게 간식으로 보상을 해줍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훈련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반려견이 간식을 기다리는 시간과 반려견과의 거리를 차츰 늘려주세요. 반려견이 반려인과 멀리 있고 보상을 받는 시간이 길어진다 하더라도 크게 불안하지 않고 차분하게 기다릴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반려 견 생활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사료 잘 먹이기  (32) 2023.01.20
강아지 귀 청소하기  (27) 2023.01.19
반려견 둔감화 교육  (31) 2023.01.18
강아지 잘 칭찬하는 방법  (34) 2023.01.18
반려견과 자동차 타기  (41) 2023.01.17

댓글